카테고리 없음

휴전은 평화인가? 이란의 선택

언제나 일등 2025. 6. 25. 11:24

미국의 행보, 이란 본토 공격과 휴전협정
이스라엘의 생존 전략

1.이스라엘의 탄생과 생존 전략
* 이스라엘은 1948년 5월 14일 독립을 통해 건국
  건국 이후 아랍 국가들과의 여러 차례 전쟁을 겪으면서 핵무기 보유 결정.
* 1973년 욤키푸르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전멸 위기에 처했던 경험은 핵무기가 안보 전략의 핵심으로 급부상
* 이 때부터 이스라엘은 중동 이슬람 국가의 핵무기 보유를 생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의 핵 개발을 저지를 위해 공격 감행  
- 오랜 기간 준비를 통해 이란의 핵 과학자 암살, 핵 시설 사이버 테러 등을 감행.

2. 트럼프의 큰 그림

1. 핵 협상과 미드나잇 해머 작전으로 핵시설 파괴
    - 이란은 계속해서 협상을 결렬시키는 작전으로 시간벌기
    - 이란은 핵 포기는 불가함
    - 시간을 무한정 연장할 수 없는 산황
    - 이스라엘이 러시아제, 중국제 공중망 파괴
    - 하늘이 열려 있는 상황, 절호의 기회
2. 중동에 친미-친이스라엘 국제 질서를 구축
   - 미국 내 정권이 바뀌어도 무조건 돕는 이유 :  중동에 이스라엘이 없는 것은 상상하는 것조차 끔찍한 상황
   - 아랍국의 석유와 천연가스는 전세계 에너지 공급처
3. 이란의 신정 체제를 무너뜨리는 것이 목표
   - 이란 중심의 시아파 벨트 무너뜨려, 평화 해법으로
4. 공격을 강행 이유,
   - 이란의 핵포기와 하메네이 정권 해체에 결정타

3. 고분고분 따를까

이스라엘이나 이란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1. 이란
  패배를 인정하기도 싫고, 햑도 포기할 수 없고, 정권교체도 싫다. 그러나 현실은 냉혹하다. 무엇을 내놓고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까?
2. 이스라엘
  - 이제 좀더 밀어 붙이면 정권교체도 가능한데, 미국이 폭파시킨 한번 더 확인 사살을 위해 핵시설을 폭격
3.미국의 입장
  - 미국은 단지 평화만을 위해서가 아니다. 이후의 전략 곧 그림은 이란이 포기하지 않을 것이고, 물러나지 않기를 바랄 수도 있다.
  - 완전히 이란을 무릎꿇게 할 수단을 준비중, 명분쌓기
  - 푸틴과 시진핑에게도 경고가 되고, 북한에게도 가장 강력한 위협과 경고
  - 더 이상 미국에 대해 국제여론이 나빠지지 않도록 미국이 평화를 위한 선구자로 인정받기 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