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 자식 외에 다 바꿔라.
이건희 회장이 프랑크푸르트에서 선언한 '삼성의 변화' 슬로건이었다.
https://youtu.be/2M_ZOBTe3GA?si=rsV6DABBMH63MpT-
https://youtube.com/shorts/fYuhAPdT7CU?si=AJaEhz-CebGVd-kq
진정한 혁명은, 자신부터 혁명이다.
수신제가가 우선이다.
과연 수신제가가 되었을까?
https://youtube.com/shorts/wpCupR06hpw?si=yRn3L2_XdByz7RVT
![](https://blog.kakaocdn.net/dn/cqaDg4/btsJslejfAM/BxnMGZAmqLb1Ib9IiLvsS1/img.jpg)
여러분은 '혁명'이라는 말을 들을 때 어떤 느낌으로 다가오는가?
혁명이라면, 현재와는 전혀 새로운 현실(개인, 단체, 국가)로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을 혁명하라"는 표현은 다소 과격한 어법이다.
일반인에게 다소 거북하다.
사실은 <개혁과 혁신>이라고 해야 하나
그러나 그가 원하는 것은 혁명적인 것인지도 모른다.
개혁이나 개선 등에 쓰이는 개(改)를 파자해 보면 己: 몸 기, 攵: 칠(때릴) 복의 합성어이다. 부모나 스승이나 어른이 아이를 교육하는 모습이며, 때로는 스스로 자기 몸을 쳐 복종시키는 그림이다.
이로써 나쁜 습관이나 버릇을 ‘고치다’는 뜻이 생겼다.
개혁(改革)은 이전에 낡은 것,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改), 바로 잡을 수 없는 것은 통채로 바꾼다(革)는 뜻을 담고 있다.
이는 변화를 원하는 대단히 강력한 메시지가 들어 있다.
그럼에도 모든 것을 새롭게 바꾼다는 뜻으로 기술이나 제도를 바꾸는 혁신(革新)도 있다.
혁명(革命)이란?
글자 그대로 명(命)을 바꾼다(革)는 뜻으로 周易(주역)에 처음 나오는 말이다.
한자 그대로 번역하면, 가죽을 바꾸고, 주어진 목숨(생명)을 바꾸는 것으로 완전한 탈바꿈을 의미한다.
명(命)=입 구(口)+하여금 령(令)
혁명(革命,revolution)은 국가와 사회에 쓰일 수 있다. 그래서 혁명은 권력이나 조직 구조의 갑작스런 변화를 통해 이전의 관습이나 제도, 방식(법식) 따위를 단번에 깨뜨리고 질적으로 새롭게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 날에는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改), 바로 잡을 수 없는 것은 바꾼다(革)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사실 정치적인 변화를 통해 이를 사회 전반에 변화를 이끌어 내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조가 수원에 화성을 지은 것도 혁명적 생각이었다.
화성건설은 강력한 메시지가 담겨져 있다.
우리는 이미 조선시대에 위대한 혁명적 군주 정조를 보유한 국가였다.
그는 조선의 정치제도를 완전히 바꾸려 했다. 비록 미완성이었지만, 그가 노예제를 폐지를 이루지는 못했어도(순조가 단행함, 관노 6만5천명을 해방시킴, 아브라함 링컨보다 65년 앞섰다) 했고 많은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군사혁명과 같은 물리적인 혁명은 심각한 후유증을 동반했다.
혁명은 때로는 국가적 위기를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혁명(혁신, 개혁을 의미)은 치열한 토론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고 점진적으로 바꾸어 나가야 한다.
이재명의 "대한민국 혁명하라"라는 주제로 대한민국의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보수적인 시각에서 이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재명의 주장
- 혁명 필요성: 이재명은 현재의 정치적 상황이 희망이 없다고 주장하며, 단순한 변화가 아닌 근본적인 혁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기득권 세력과 부패를 뿌리 뽑고, 국민이 주인 되는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누가 기득권세력인가? 권력은 부패한다. 분열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단두대로 많은 사람을 죽인 로베스피에르는 역설적으로 이 기구(단두대)에서 죽었다.
- 공정한 사회: 그는 공정한 기회와 경쟁, 인권 존중, 평화로운 사회를 강조하며, 이러한 가치가 실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근대사회는 혁명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어느 사회나 기득권 세력은 존재해 왔다.
그들은 카르텔을 형성하여 사회 안정을 추구한다.
기득권 세력의 타파의 대상인가?
진보적인 정책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가? 그래서 집권하는 세력이 되면 그들은 또 기득권이 되어 사회를 그들이 원하는 세상을 만든다.
이는 반복되는 역사다.
1. 경제 정책
- 이재명: 기본소득, 공공주택 확대, 사회적 안전망 강화 등을 통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려 함. 부유세와 같은 세금 정책을 통해 부유층에 대한 부담을 늘리고,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경제 정책을 추진.
- 보수 정당 : 시장 경제를 중시하며, 규제 완화와 기업 지원을 통해 경제 성장을 도모. 세금 인하와 기업의 자유로운 활동을 강조하며, 경제적 자율성을 중시.
2. 사회 정책
- 이재명: 인권, 성평등, 환경 문제 등 사회적 이슈에 대해 진보적인 입장 취함. 성소수자 권리, 여성의 권리 증진, 환경 보호 등을 적극적으로 지지.
- 보수 정당 : 전통적인 가치와 가족 중심의 사회 구조를 중시하며, 성소수자나 이민자에 대한 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입장. 사회적 변화에 대해 신중한 접근 선호.
3. 정치적 이념
- 이재명: 민주적 사회주의적 성향을 띠며,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공공의 이익을 강조. 정치적 혁신과 변화를 통해 국민의 목소리를 반영.
- 보수 정당: 전통적인 가치와 국가 안보, 법치주의를 강조. 사회의 안정성과 질서를 중시하며, 급진적인 변화보다는 점진적인 발전을 선호.
4. 대외 정책
- 이재명: 대화와 협력을 통한 외교를 지향하며,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강조하며 평화적인 방법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 보수 정당: 강력한 안보 정책을 중시하며, 북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함. 군사적 대비와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조합.
5. 정치적 접근 방식
- 이재명: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하며, 직접적인 정치적 참여를 강조. SNS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
- 보수 정당: 전통적인 정치적 접근 방식을 선호하며, 정당 내의 구조와 규범을 중시, 대중의 의견을 수렴하여 보완해 나감.
수신제가후에 평천하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머슴이 대통령이 되면 .....
다 좋은 정책이다. 그러나 설득력이 없다. 그러한 재원을 마련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대기업을 해산시켜 그 재산으로 나눠줘도 모자란다. 대기업이 먹여 살리는 인구는 얼마인지 아는가?
베네수엘라가 되고 말 것이다.
■ 참고 자료
[1] 이재명 '대한민국 혁명하라' 출간…공정국가 구상 제시(https://www.yna.co.kr/view/AKR20170117057800061)
[2] 이런 나라 확 바꾸자고 이재명은 말한다 (https://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303289&SRS_CD=0000011585)
[3] 이재명, 대한민국 혁명하라 (https://m.yes24.com/Goods/Detail/35188220)
[4] 이재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9E%AC%EB%AA%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