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8월 15일,
일제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으로 연합군에 패하게 되자 무조건 항복하게 된다. 이 때 한반도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 해산하는 것을 골자로 38도선 이북에 소련군의 점령하게 된다.
패망한 일본군과 거주 일본인은 얼마나 되었나?
일본의 발표에 따르면 한반도 38도선 이남에서 귀환한 일본인 59만 6,454명과 이북에서 귀환한 일본인 32만 2,585명을 포함, 이들은 대부분 1945년과 1946년 사이에 귀환해 갔다. 1946년 말까지 남한에서 57만 1,765명이, 북한에서는 30만 4,469명이 일본으로 귀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을 일본으로 송환하고, 일본인 재산처리 문제, 치안과 국가적 기틀 마련 등을 위해 시간이 소요되었다.
미군과 소련군이 주둔하게 된 한반도
1945년 8월15일, 패망한 일본군의 무장해제와 본국송환을 위해 미국과 소련은 38선을 기준으로 각각 남쪽에는 미군이, 북한에는 소련군이 진주하기로 하다.
8월 17일 조만식을 위원장으로 하는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와 현준혁을 중심으로 한 ‘조선공산당 평안남도지구위원회'가 출범. 하지만, 주둔하던 소련군의 통제와 관리 하에 놓임.
초기 북한체제는 김일성을 비롯한 ‘88특별여단’ 출신들을 중심이 되어 주도권을 잡았고, '38도선 이북 지역에 부르주아 민주주의 권력을 수립하라'는 스탈린의 지령에 따라 소련 군정은 1945년 10월,
38도선 이북 지역을 관할할 중앙행정기구와 당 차원의 지원조직 구성 작업에 착수하였다.
한편 서울에서는 박헌영이 중심이 되어 ‘조선공산당’을 조직(1945.9.11)하여 각 도에 지부를 만들고 있었다.
12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미국·영국·소련의 외무장관 회의(모스크바 3상 회의)에선 ‘최장 5년 동안 한반도를 신탁통치한다’는 결정을 해 한국인의 거센 반대에 부딪치게 된다.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은 1945년 12월 17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제3차 중앙확대집행위원회에서 김일성을 책임비서로 선출하였으며, 이후 명칭을 ‘북조선공산당’으로 바꾸었다.
북조선공산당은 이듬해 8월말 조선신민당(김두봉)과 통합, ‘북조선로동당’으로 개명, 1949년 남조선로동당과의 합당 ‘조선로동당’이 되었다.
1946년 2월,
소련군의 지원과 통제 하에 북한 중앙행정기관의 모태가 되는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를 조직, 실질적인 정부 역할을 담당했다.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는 집행권을 행사하는 것은 물론 임시법령을 제정하고 공포(서현군 사령부의 허락을 받아)할 권한까지도 행사하는 기관이었다.
1946년 6월 3일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을 알고 있던 이승만은 미군정기에 이승만이 각지를 순회하던 중 전북 정읍에서 '남측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할 것'을 강조하는 내용의 발언을 하였다.
이미 1945년 가을 지중해와 태평양 방면으로 진출하려다 실패한 소련의 지도자 스탈린은 9월 20일 북한에 주둔한 소련군 사령관 슈킨에게 내린 지령은 “한반도 북부에 소련의 이익을 영구히 구축할 정권을 수립하라.”는 것이다.
당시 1945년 10월 10일 북한에는 공산주의 정당인 조선로동당이 창립되었고, 조선로동당의 주도하에 1946년 2월 8일에는 공산주의식 정권 형태인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를 조직하였다는 소련의 문건이 발견되었다. 이런 와중에 이승만은 남한땅에도 독자적인 정부를 세울 필요성을 느껴 정읍선언을 발표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이 발언은 분단 고착화와 전쟁 가능성을 우려한 당시 다수 남한 좌우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종국에는 김구와도 결별하는 결정적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고 비판하지만, 북한에선 이미 실질적인 정부가 들어서고,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에서 남한의 우익세력을 배제하려는 소련의 정책이 드러난 직후에 이승만의 정읍 발언이 제기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미 38선 이북에서는 북한의 공산 정권이 수립되어 있었고, 이에 맞서 민주주의를 수호하려는 방어적 행동으로 이승만의 '정읍 발언'이 나온 것이다.
이승만은 해방 직후 네 나라 정상들에게 전보를 보냈는데, 먼저 1945년 8월 15일 스탈린에게 전보를 보냈는데, 이 전보의 내용은 한반도에 ‘통일민주정부 수립을 소련이 도와준다면 소련의 안전을 위협하는 일을 하지 않고 세이프가드를 설치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사실 소련은 다시 일본은 한반도를 교두보로 소련을 침범하리라는 걱정을 하였는데, 이를 이 박사가 간파했던 것이다.
8월 21일에 영국의 애틀리 수상에게 보낸 전보에서 ‘폴란드가 소련에 넘어간 것이 유럽의 안보에 위협이 됐던 것처럼, 한반도가 소련에 넘어간다면 동아시아는 공산화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독립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그리고 같은 날 장개석과 트루먼에게도 소련의 음모에 동조하지 말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1945년 11월초 이승만의 구상은 통일정부에 대한 새로운 구상을 실행하고자 했다. 먼저 남한의 이승만·김구, 그리고 북한의 조만식·김일성이 참여하는 4자회담을 추진하려 했다. 이를 조만식을 통해 김일성에게 전달했다. 조만식은 김일성과의 대담에서 이승만, 김구 등을 포함하는 중앙정부의 수립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일성의 반대로 성사되지 못했다. 이미 김일성이 소련의 지시와 소련 군정의 휘하에서 허락을 받아야 했기 때문이다.
1947년 2월,
입법기관인 ‘북조선인민회의’를 설치, ‘북조선인민위원회’를 출범하고, ‘조선인민군’ 창설과 헌법 초안 작성 등 정권 수립을 위한 제반 준비 작업을 진행하였다.
1948년 2월,
‘조선인민군’이 창설되었으며 4월 29일 북조선인민회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을 승인하였다.
8월 25일,
최고인민회의(북조선인민회의 후신) 제1기 대의원 선거에서는 212명의 대의원을 선출, ‘남조선 인민대표자대회’에서 360명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하여 보냈다고 발표하였다.
최고인민회의 제1기 제1차 회의가 9월 2일에서 10일까지 평양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을 최종 채택·공포(9.8.)하였으며, 김일성을 내각 수상으로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9.9.)하였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