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에서 레난의 공산주의 혁명이 성공함.
- 1860년대부터 1900년까지 공업 생산량은 7배 이상 증가, 대규모 공장제 공업과 중공업 분야에서 꽤 두드러진 발전.
- 1870년대 후반 오데사와 키예프의 남부동맹,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북부동맹 등의 정치조직이 연달아 탄생.
- 1870년대부터 파업 시작, 확산, 더욱 과격해짐.
- 1885년 주에보/ 1만 명 이상 파업 사태가 터짐. - 결국 정부는 굴복노동자 보호법 마련
- 초기에만 지켜지고, 여전히 편법을 저지름
- 러시아 노동자들의 불만/ 로마노프 왕조에 대한 불신/ 가혹한 노동환경은 훗날 혁명의 도화선
이러한 과정을 공산당이 주도 /공산화
1917년 러시아에서 일어난 두 차례의 혁명.
- 3월(2월) 혁명, 11월(10월)혁명/(월력에 따라 다름/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 전제군주국이던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국가인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이 탄생
- 레닌은 볼셰비키의 지도자/ 혁명에 성공/ 소련 장관회의 초대 위원장 겸 소련 공산당의 창립.
- 이동휘는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 일어나자 공산주의자로 전향하여 볼셰비키에 가입. - 1918년 볼셰비키에서 지원을 받아 한인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의 볼셰비키 당인 한인사회당을 창당.
-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국무총리)
다른 요인들과의 의견 대립으로 탈퇴, 고려공산당 창당, 생애의 대부분을 공산주의 활동에 투신
1. 한국공산주의 운동의 역사와 그 성격
1-1. 3.1 독립운동과 공산주의 사상의 파급
- 3.1 독립운동 후, 공산주의 사상이 한국 민족의 허탈감을 극복하는 데 기여함
- (중요) 러시아 공산당이 전세계 공산주의 중심이 되었으며,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시작점이 됨
- 한국 초기 공산주의자들은 토지 분배, 차별 없는 세상을 목표로 하였음
- 러시아 공산당은 식민지 민족 해방 운동을 지원하였음
1-2.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주도자와 영향
- 박헌영은 러시아에서 공산주의 운동을 시작, 이동휘는 한국 공산주의 운동을 이끌었음
- 1925년 4월, 박헌영이 주도한 조선공산당이 창당됨
- (중요) 1926년, 공산주의자들의 항일 독립운동 활동이 체포되고 135명의 공산당원이 체포됨
- 박헌영은 정신병자 행세를 풀고 국제레닌 학교에 입학, 소련으로 이동함(변신의 귀재)
1-3.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결과와 영향
- (중요) 제2차 세계대전 종식 후 한반도 분단의 비극이 난사하였음
- 소련의 한반도 진격과 미국의 한반도 항복 요청 간 갈등으로 분단이 이루어짐
- 한국은 공산주의 이념을 전파하였으나, 전쟁으로 인한 피해가 큼
- 한국의 공산주의 운동은 한국의 역사를 중요한 전환점으로 삼아왔음
2. 한국 공산주의 운동의 역사와 변화
2-1. 이승만과 박헌영의 정치적 갈등
- 이승만이 공산당에 대한 나의 입장에서 세계를 파괴하는 자를 비난함
- (중요) 박헌영이 민족반역자 및 친일파의 수령이라고 비난함
- 미영소 3국 외상회의에서 한국을 일정기간 맡아서 다스리겠다는 통치안이 가결됨
- 미국과 소련은 한국의 독립을 제의했지만, 소련은 신탁 통치를 고집함
- 국내에서는 좌익과 우익이 모두 결사 반대에 나섰음
2-2. 소련과 미국의 갈등과 남북 갈등의 시작
- 소련은 1946년 1월 2일 박헌영에게 신탁통치를 찬성하게 한 입장으로 돌아섰음
- 소련의 지령을 받은 공산당은 하루 밤새 찬성을 하고 나섰음
- 남한에서는 민족분열의 씨가 싹트고 있었음
- (중요) 박헌영은 1월 11일 미 군정의 하지 사령관을 찾아가 신탁통치 반대 집회를 중지시켜야 했지만, 거절당함
- 남한에서 피비린내 나는 좌우의 대립이 본격적으로 시작됨
2-3. 박헌영의 마지막 선택과 남로당의 몰락
- 1946년 9월 박헌영은 해주로 도주했으나, 미군정에 의해 탄압을 받음
- 1947년 2월에 박헌영의 남로당이 북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으로 바뀜
- (중요) 박헌영의 신전술을 언급했지만, 김일성의 반대로 일단 미뤄짐
- 박헌영이 신전술을 행동에 옮긴 사건은 1946년 9월 총파업이었음
- 박헌영이 신전술을 행동에 옮긴 이후로, 남로당은 급속히 몰락의 길을 걷게 됨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