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한민국은 대륙의 끝에 위치한 한반도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영토로, 그다지 크지 않은 작은 나라입니다. 그러나 5천 년의 유구한 역사가 그 자랑입니다. 역사는 기록되어야 발전하고 전수됩니다. 그러므로 문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게 됩니다. 우리에게 문자가 없었을 때 한자를 빌려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차자표기법(借字標記法)
이두, 향찰, 구결: 우리의 문자가 없었던 시기에 한자를 빌려 표기하였습니다.
향찰(鄕札):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표기하는 방식으로, 주로 신라 시대 향가에 사용되었습니다.
이두: 조사와 어미만을 향찰처럼 적은 것입니다. 이두는 한문을 우리말의 어순에 맞춰 재배열하고 일부 부사 등에 한자를 차용한 것입니다.
구결: 한문은 그대로 두고 한문의 독해를 돕기 위해 토를 단 것입니다. 이는 조선시대 세종대왕 이전에 한자를 사용하여 표기한 방식입니다.
1. 우리말의 역사와 발전
1-1. 우리 말의 기원과 유래 단계
고대 한반도의 언어는 북부 지역의 요동과 간도에서 부여어가 사용되었으며, 이웃나라 고대 중국의 한자 문화가 유입되고 있었습니다. 언어는 고착화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생물처럼 변천과 성장의 과정을 거쳐 발전해 갑니다.
고구려가 등장하면서 부여 세력의 지역을 차지하고 고구려어가 표준화되었습니다. 반도 남쪽에서는 마한에서 탄생한 백제어가 표준화되었고, 동쪽에서는 신라가 건국되어 신라어가 표준 언어로 사용되었습니다. 작은 반도 안에서도 여러 언어가 사용되다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통일신라가 반도를 통일하므로 오늘날 우리 언어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1-2. 반도 안에서 우리말의 교류와 변화
한반도 내의 고구려, 백제, 신라는 세력 간 경쟁과 함께 교류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습니다.
마침내 하나의 국가인 통일신라가 건국되면서 오늘날 우리의 언어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가 건국되면서 다시금 우리 말과 언어 기반이 구축되었습니다.
1-3. 우리말과 현대 언어와 그 연관성
말, 즉 언어는 문화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또 많이 사용하는 쪽으로 흘러갑니다. 반도 내에 살던 우리 민족의 언어는 반도 밖의 중국, 몽골(티벳), 일본, 그리고 해외로는 인도까지 언어의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2. 우리 말의 역사
2-1. 국가는 언어를 남긴다
고구려 시대부터 한반도 내의 언어는 신라어, 발해어, 말갈어 등이 존재하였습니다. 발해어는 고구려의 계승을 표방하며 발전하였고, 고구려를 이은 고려는 개성 지역 방언에 영향을 미치며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2-2. 한자의 유입과 영향
한자는 동이족의 언어로 여러 시대를 거치며 한족이 한나라 때에 최고의 문화 언어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중국 문물을 받아들이던 신라, 백제, 고구려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2-3. 우리 말의 현대와 미래
조선시대에 이르러 각 지역마다 다른 발음과 뜻을 가진 언어가 존재하여 소통의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마침내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이 반포되며 지금의 우리말의 공식 문자가 되었습니다.
3. 한자와 중국어, 그리고 한글과 일본어
3-1. 대륙의 고대 중국
고대 중국은 언어의 통일을 이룬 시기가 한나라 때입니다. 강력한 중앙집권제는 도량형과 언어 등을 통일하게 되었습니다.
3-2. 이웃 국가들에 대한 영향
베트남은 프랑스 신부가 만들어 준 표기법으로 변화했고, 우리나라도 한자와 이두, 향찰 등을 사용하여 문장화하였습니다. 일본은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를 통해 표기법을 만들어 한자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3-3. 한자와 중국어
한자는 중국에서는 중국어로, 우리에게는 한자로 사용됩니다. 중국에서는 한자를 발음하기 위해 로마자를 사용하여 발음의 통일성을 가져왔습니다.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지 시절에 한자 문자를 버리고 프랑스 신부가 만든 베트남어 표기법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3-4. 일본의 문자 사용
일본은 나름대로 편리한 문자를 만들고자 했으나 실패하고 여전히 한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5. 중국의 문자 변화
중국에서는 번자체를 쉽게 쓸 수 있는 간자체로 많이 바꾸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3-6. 한글의 가능성
우리가 사용하지 않는 한글의 네 개의 글자를 복원하면 전 세계 모든 나라의 언어를 표기할 수 있는 탁월한 음성학의 문자입니다. 현재 우리가 한글을 사용하는 비율은 22~23%에 불과하지만, 우리의 문화 속에 한자가 배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한자가 중국어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중국어는 말, 즉 생활 언어이며, 한자는 그들의 언어를 표기하는 방법일 뿐입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4. 우리의 말은 한글이다
한글은 소리와 다양한 상태와 동작변화 등 무엇이든 표기할 수 있는 문자입니다. 한글만이 누가 왜 만들었는지 유일하게 알 수 있는 지상의 언어로 그 탁월성이 입증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