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본주의의 등장
1-1. 18세기 사회주의 이해
- 귀족, 평민, 노예로 구성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구분이 무너지기 시작
- 정치적 변화가 있었으나, 경제적으로도 변화
- 패션 산업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계 도입이 산업혁명의 키워드
- (중요) 산업혁명은 자본주의의 완성으로, 자본주의가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사회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역사적 배경 이해
1-2. 산업혁명의 파급효과
- 산업혁명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노동자와 자본가로 나뉨
- 유일한 소득원이 직장인 노동자인지 자본가인지?
- 자본가와 노동자로 나누는 기준은 <생산수단의 소유> 여부
- 생산수단은 <재화나 토지>를 의미하며, 이를 소유한 자본가와 그렇지 않은 노동자로 나뉨
- 노동자들의 열악한 환경에서 근로 시간 이상 일함
1-3. 프롤레타리아와 부르주아
- 15시간 이상 일한 노동자들이 비참한 삶을 살게 됨
- 열악한 환경에서 하루 1시간만 쉬고, 10분만 먹고 잠을 자는 등 일상이 이어짐
- 자본가들의 부가 증가하고, 노동자들은 점점 더 열악한 삶을 살게 됨
- 산업혁명 이후, 노동자와 자본가로 나뉘어져 비참한 삶을 살게 된 것을 이해해야 함
2. 사회주의의 탄생과 발전
2-1. 사회주의 탄생 배경
- 사회주의는 개인의 경쟁적 성공이 아닌 사회 전체 이익을 지향함
- 사회주의의 탄생 배경은 19세기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대안이 되었던 공산주의 사상에서 비롯됨
- 영국의 굴뚝 청소 아동 노동자 시를 통해 당시 현실의 부정부패와 아동 노동 착취를 비판함
- 오언, 생시몽, 프리에 등 사회주의 사상가들은 협동과 공존을 제안함
- (중요)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 혁명이 일어나고, 이를 통해 사회주의 국가가 등장한다고 주장
2-2. 사회주의 사상가들
- 오언은 직조 공장에서 성실하고 꼼꼼한 리더로 활동, 후에 공동경영자의 자리를 차지함
- 오언은 협동과 공존을 실천하기 위해 협동촌을 구성했으나 실패로 돌아감
- 생시몽과 프리에는 협동과 공존을 바탕으로 한 사회주의 사상을 추구함
- 마르크스는 사회주의 국가 단계에서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는 점, 사회주의 혁명을 통한 노동자 혁명의 필요성을 주장함
-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 계급을 무너뜨리고 공산당 선언을 통해 사회주의 국가를 수립할 수 있다고 봄
2-3. 사회주의 국가의 특징
- 사회주의 국가는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는 사회주의 국가임
- 사회주의 국가는 사회 전체에 분배를 실시하는 시스템
-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노동량에 따라 분배
- 사회주의 국가가 발전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공산주의 사회에 도달
-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시민이 평등하고, 사회 전체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시스템
3. 공산주의 이해
3-1. 공산주의의 특징과 실험
- 공산주의 국가는 국가와 계급투쟁이 사라지고 사회만 남는다고 보았다.
- 현재까지도 사회주의 국가 단계에 머물러 있는 공산주의 이론이 지배
- 공산주의 이론은 자본주의와 과학 발전을 통한 행복한 사회를 지향
- 분배는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며, 사유재산 개념이 존재하지 않음
- (중요) 자본주의의 필연적 단계로 간주되는 사회주의 사상가의 생각을 마르크스가 이어받음
3-2.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실험
- 사회주의 실험은 마르크스의 이론대로 실패로 돌아감
- 최초의 사회주의 혁명은 러시아의 1917년 11월 볼셰비키 혁명으로, 마르크스의 이론과는 달리 후진국이었음
- 영국은 산업혁명이 일어났고 자본주의가 가장 발전한 나라였으나, 러시아가 먼저 일어남
- 수정자본주의로 변모하며, 사회주의 국가의 실험은 수정된 모습으로 이어짐
-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개념이 다름
3-3. 시대를 대체할 사상
- 시대를 대체할 수 있는 사상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중 하나일 것임
- 자본주의는 상황에 맞게 변화하고, 스스로의 단점을 수정하며, 수정자본주의로 변모함
- 사회주의도 수정되며, 베트남과 중국은 경제에서 자유경쟁 시스템을 도입함
- 사회주의 국가도 수정되어 서로 비슷해짐
- 사회주의는 민주주의 국가들에도 있음
- 공사주의 국가는 러시아, 중국이 대표적인 국가이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