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알수록 아는 것은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지만, 알면 알수록 더 알 수가 없구나.
도덕경
제1장 도가도 비상도 [道可道非常道]
말할 수 있는 도(道)는 늘 그러한 도가 아니라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 地之始 有名萬 物之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명천 지지시 무명만 물지모)
창조자와 피조물
만물의 그 시원은 신비 그 자체이다. 그 만물이 탄생은 말로 설명할 수 없다. 하지만, 명백한 사실은 설명할 수 없는 신비이기 때문이다.
어찌 인간의 언어로 다 그 《도 : 시작의 원인》를 담을 수 있겠는가! 그래도 이름을 불러야 하기에 이름을 불러 줄 뿐, 온전히 그 이름의 본질을 다 표현할 수 없는것. 단지 이름을 지어 그 이름을 부를 뿐이다.
말로써 설명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며, 부를 수 있는 이름은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 '무명'(분명 존재 하지만, 아직은 무어라고 이름붙일 수 없는 상태에 있음. 이를 '도'라 하지만)은 하늘과 땅의 기원이요, '유명'(비로소 창조(탄생)로 존재하여 이름을 붙일 수 있는 사물, 현상이 되었으니)은 만물을 기르는 단순한 양육자일 뿐이다.
*도(道) : 궁극의 존재, 모든 것의 근원·본질
도에서 나온 도, 본질도 같고 그 근본도 같고, 니오기 이전과 나온 이후에 어찌보면 같고, 어찌 보면 다르다고 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을 보고 있는 사람의 관점 때문이다.
故常無欲 而觀其妙 常有欲 而觀其徼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고상무욕 이관기묘 상유욕 이관기요
차양자 동출이이명 동위지현)
사전을 찾아보면 욕망, 욕심, 욕구의 한자말이 '욕(欲)과 욕(慾)' 의 차이점
欲 = 谷(골 곡)과 欠(하품 흠)이 합쳐진 형성자
欲이 '욕망'의 뜻으로 쓰이면서, 慾 '욕심'에 치중한 한자를 새로 만든 것
욕(欲) 인간의 감정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는 것이라면, 욕(欲)은 충동에 가까운 이끌림이다.
욕(慾)은 인간의 사사로운 마음(心)이 보태진 것이다. 욕(慾)은 그 사람의 心의 작용으로 '의식'을 포함한다. 욕(慾)은 관념이 작용한 이끌림
• 소리는 敫(노래할 교) /㐆[돌아갈 은, 돌아갈 의/부수丿 (삐침별)/
1. 돌아가다 2. 몸을 돌리다 a. 돌아가다 (의)]
徼[돌 요/부수彳 (두인변)
1. 돌다, 순찰하다(巡察--)
2. 순행하다, 돌아다니며 살피다
그러므로 늘 욕(欲)심에서 벗어나 있는 자만이 '묘(妙)'(= 감추어져 있는 본질. 신묘막측함)를 볼 수 있으나 욕(慾)망에서 벗어나지 못한 자는 '요(徼)'(밖으로 드러난 결과) 밖에는 볼 수가 없다.
이 두 가지 곧 나타나기 이전(玄 : 오묘함)와 나타난 후 (妙)는 같은 '근원'에서 나오지만 이름이 다르다.
玄之又玄 衆妙之門
(현지우현 중묘지문)
그윽하고 신비한 현(玄)은 그 신비함을 또한 가졌으니(나오기 전에도, 나온 후에도), 이 모든 묘들이 나오는 문이다.
*욕(慾) : 인위적으로 꾸미는 마음. 무언가를 바라거나 하고자 하는 마음. 의지.
*차양자(此兩者) : 이 두 가지 : 무명(無名 : 이름붙일 수 없는 것)과 유명(有名 : 이름이 있는 것).
*현(玄) : 그윽하고 신비로운 것, 아득하고 심오한 것.
사물의 본질을 보지 못하고 껍데기만 보는 것은 '무언가 하고자 하는 마음' 즉 '의지'가 있기 때문이므로 의지(욕심)를 버리고 보면 우주의 감추어진 진리가 보이지만 꾸며진 마음으로 보면 겉으로 드러난 겉모습만 보입니다. 즉 자기가 원하는 것, 자기의 이익만 보이는 것입니다.
같은 곳에서 나온 것이 보는 관점에 따라서 두 가지 모습으로 보이게 되는데 하나는 이름을 붙일 수 없는 본질, 참 진리이고 하나는 겉으로 드러난 겉모습인 거짓 진리이므로 이름이 다르게 됩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는 근본적으로 같은 곳에서 나온 거지요. 즉 참진리와 거짓진리는 같이 그윽하고 심오한 현(玄)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이렇게 그 결과인 이름이 '묘'와 '요'로 달라지는 것은 '욕'을 버리고 바른 눈으로 보느냐, 자기가 바라는 것만 보려 하는 '욕'을 가진 눈으로 보느냐의 차이 때문입니다.
우리가 『노자』 제1장을 읽으면서 명심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그것은 묘妙와 요徼, 시始와 모母, 그리고 무無와 유有를 대치시키고 있는『노자』의 서술 방식은 결코 그것들 간의 차별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잊지 않는 일입니다.
그것을 통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서술 방식으로 《무와 유》는 둘 다 같은 것인데, 이름만 다르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더욱 정확히 말하면 무릇 차이란 이름이 있고 없고의 차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제1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범주로 대별하여 설명하고 있는 구도입니다.
도가도 비상도: 道可道 非常道
道 : 길 도 可 : 가히 가 非 : 아닐 비 常 : 항상 상
《노자도덕경》 첫머리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다. 《도덕경》의 첫장은 노자의 도(道) 사상을 총괄적으로 언급한 장으로, 도는 말[言]로 설명하거나 글로 개념화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도덕경》의 내용이 매우 어렵고 추상적이어서 학자들에 따라 해석이 약간씩 다르고, 도에 대한 정의에도 차이가 있다.
'도가도 비상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여섯 자를 정확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도를 도라고 말하면 그것은 늘 그러한 도가 아니다", "생각될 수 있는 진리는 절대적 진리라고 할 수 없고 말로써 표현할 수 있는 진리는 영원한 진리라고 할 수 없다", "도를 도라고 말하면 영원한 도가 아니다", "도를 도라고 해도 좋겠지만 꼭 도이어야 할 필요는 없다" 등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