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2)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 그리고 대한제국의 침몰 나라를 지키지 못한 비극, '외교 및 동맹의 기본원칙'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개국한 조선왕조가 망국의 길을 걷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조선의 멸망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요인을 꼽는다면 고종과 왕비 민비의 외교 실패라 할 수 있다. 스스로 난세를 돌파할 능력이 없으면 줄이라도 잘 서야 생존할 수 있다는 교훈을 남겼다.지도자의 무능은 국가를 무너뜨리는 주범이다. 을사늑약을 체결한 당사자는 당시 대한제국의 황제라고 자칭하던 고종이다. 황제면 뭘하나? 지도력이 없었다. 그는 특히 정상적인 외교 절차를 무시하고 고종에게 조약체결을 요구하는 일본에 대항하지도 못하고 그는 몸이 아프다는 걸 핑계 삼아 뒤로 숨고, 내각대신들이 끝내 반대하자 마침내 이토가 고종과 담판을 시도하는 등 우여.. 1948년 건국 부인하는 좌익사관은 설득이 아니라 투쟁의 대상 1948년 건국 부인하는 좌익사관은 설득이 아니라 투쟁의 대상 [특별기획] 이인호 서울대 명예교수 인터뷰| 240820 | 김미영 VON뉴스 대표 1.독립 전후 역사 논쟁1-1.독립 건국의 과정과 논쟁상식적으로 아는 독립 사실과 건국 과정에 대한 합의가 존재함학술 논쟁은 상식에서 벗어나 개인적 역량에 의존해 논란을 일으키고 국민의 역량을 소모시킴상식을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것이 학문이며,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함대한민국 건국은 혁명이었으며, 주권자와 이념이 바뀌고 모든 것이 기존과 달라짐대한민국은 고조선, 신라 등 다른 나라와 다르게 새로운 나라임 1-2.대한민국 건국의 의미대한민국 건국은 혁명적이었으며, 개인의 권리와 인권을 최대 가치로 봄대한민국 헌법은 국민이 주권자가 되고, 개인의.. 건국절에 관한 논쟁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이전 1 ··· 94 95 96 97 98 99 100 ··· 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