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1)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한제국의 멸망 과정 고종 황제의 공과(功過), 그리고 멸망과정 개인에게도, 조직이나 단체, 국가에도 공 • 과가 있다. 조선말기 고종은 1637년 선조가 청의 침공으로 남한산성과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고 내정간섭 속에 있던 조선을 개혁하고자 했다. 청나라의 내정간섭을 받아오던 조선, 고종은 조선을 "대한제국"이라 칭하고, 260년 만에 청나라 황제와 대등한 주권국임을 선언하였다는 것은 매우 큰 의의가 있다. 대한제국, 국호변경의 의의 1882년 청은 조선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면서 ‘조선은 청의 속방(屬邦)’이라는 조항을 넣었다. 당시 위안스카이(원세개)는 10년 가까이 총독처럼 조선 조정 위에 군림하면서, 내정간섭과 청의 국익을 일방적으로 앞세우며 강압적인 무력을 휘둘렀다. 그는 여러 차례 고종 폐위를 시도하였고.. 아다르고 어다르다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4253982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하면서 체결된 ‘한일기본관계에 관한 조약’(이하 ‘한일기본조약’)이 있습니다. 이 조약 제 2조에는 "1910년의 한일합방조약은 ‘이미 무효’라고 규정하고 있다(제2조). 이 조약은 일본어와 영어로 각각 작성되었습니다. 일본어로는 'もはや無効', 영어로는 'already null and void'라는 표기했습니다. 이는 일본의 숨긴 의도에 말려들었던 것이지요. 우리는 단순히 '무효'가 아닌 '《이미》 무효'라는 단어를 넣기를 일본이 고집했습니다. 영어로 명백함도 불구하고, 그들은 자기들의 언어인 일본어를 가지고 트집을 잡습니다. 우리 말로는 '이미'(그 때부터)이지만, 일본어.. 헌법으로 보는 건국절의 의미 ● 헌법 전문 1948년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대한국민은 기미 삼일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여 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 민주독립국가를 재건함에 있어서.... ● 헌법전문 1987년 3·1運動으로 建立된 大韓民國臨時政府의 法統과 不義에 抗拒한 4·19民主理念을 계승하고... 여기에 포함된 내용을 꼼꼼히 살펴 보자. 헌법이 제정된 1948년 시점과 1987년 개정된 시점에서 각각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확립한 것이다. 헌법전문은 헌법에 담긴 전체를 아우르는 정신을 말한다. 헌법전문에 3.1운동의 독립정신을 넣은 것은 다시는 나라를 누구에게도 빼앗기지 말자는 것이요, 그러한 일이 일어나면 다시 독립을 위해 분연히 일어날 것이라는 각오와 다짐이다. 3.1운동은 일제의 침략과 지배는 부.. 이전 1 ··· 85 86 87 88 89 90 91 ··· 111 다음